위화도회군의 배경과 조선의 건국 과정

1388년 이성계가 이끄는 군대가 요동 정벌을 위해 출정했다가 압록강 위의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 왕조를 건국하게 된 계기가 된 사건이 위화도회군이다. 위화도회군의 배경과 조선의 건국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화도회군-배경-조선-건국-과정-표지



위화도회군의 배경

1. 고려 사회의 문제

혼란과 갈등의 소용돌이 14세기 후반 고려 사회는 내우외환에 시달렸습니다. 왜구의 침략, 잇단 기근, 농민들의 반란 등 사회 전반에 불안이 만연했습니다. 또한, 권력 남용하는 관리들의 등장, 지방 세력의 성장 등 내부적인 문제도 심각했습니다.

2. 왜구의 끊임없는 침략

해안 지역을 공격하고 약탈하며 백성들의 생활을 위협했습니다.

3. 기근과 흉년

연속적인 자연재해로 인해 식량 부족이 심각해져 백성들의 고통이 더욱 가중되었습니다.

4. 농민들의 반란

극심한 빈곤과 착취에 시달린 농민들이 일어나 정부에 맞서 싸웠습니다.

5. 권력층 부패

일부 관리들은 권력을 남용하여 백성들을 착취하고 부패를 일삼았습니다.

6. 지방 세력의 성장

중앙 정부의 약화로 인해 지방 세력들이 성장하고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습니다. 

명과의 관계 악화

외교적 갈등과 위협 명나라의 등장은 고려에 새로운 위협을 안겨주었습니다. 명은 고려를 압박하고 지배하려는 야욕을 드러냈고, 이에 고려는 외교적 갈등을 겪게 됩니다.

1. 명의 침략과 간섭

명은 군사력을 앞세워 고려를 침략하고 내정에 간섭했습니다.

2. 요동 문제

명은 요동을 자국의 영토로 편입하려는 야욕을 드러냈고, 이는 고려와의 갈등을 심화시켰습니다.

3. 사대 관계 강요

명은 고려에 사대 관계를 강요하고 조공을 요구했습니다.

4. 고려의 외교적 노력

고려는 명과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신진 세력의 등장

변화를 향한 열망 위기 속에서 새로운 세력들이 성장했습니다.

1. 무인 세력 등장

왜구 토벌 등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무장 세력들이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습니다. 이성계와 최영은 뛰어난 군사적 재능으로 승승장구하며 실력을 인정받았고, 정치적 영향력도 커졌습니다.

2. 신진 사대부 등장

또한, 고려 사회를 개혁하려는 뜻을 품은 신진 사대부들도 성장했습니다. 정도전, 조준 등이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과거제도를 통해 관직에 진출한 신진 사대부들은 고려 사회의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이성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습니다.

사불가론

위화도 회군의 핵심적인 배경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사불가론'입니다. 사불가론은 고려 왕조의 요동 정벌에 대한 반대 의견을 이성계가 우왕에게 제시한 4가지 주장을 말합니다.
1.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공격할 수 없다. 당시 고려는 명나라에 비해 군사력이 현저히 약했습니다. 무모한 공격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우려였죠.
2. 여름에 군사를 동원할 수 없다. 여름철 장마는 군사 이동과 전투에 매우 불리했습니다. 질병 발생 위험도 커졌습니다.
3. 온 나라의 군사들이 원정에 나서면 왜적이 허점을 노려 침략할 것이다. 왜구의 침략 위협은 여전히 상존했습니다. 모든 군사를 요동에 투자하면 국내 방어가 소홀해질 수 있다는 우려였죠.
4. 장마철이라 활을 붙여놓은 아교가 녹고 대군이 전염병에 걸릴 우려가 있다. 장마철의 습기는 무기 성능 저하와 질병 발생 위험을 높였습니다. 이성계는 사불가론을 통해 요동 정벌의 무모함을 지적하고 회군을 주장했습니다. 그의 주장은 군 내에서 많은 지지를 얻었고, 결국 위화도 회군으로 이어지는 촉매제가 되었습니다.


조선의 건국 과정

1. 요동 정벌 결정과 이성계의 반대

1388년, 명나라의 요구에 따라 고려는 요동 정벌을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군사적, 경제적, 외교적 이유로 강력하게 반대했습니다. 그는 '사불가론'이라는 4가지 주장을 통해 요동 정벌의 무모함을 지적했습니다. 이성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우왕과 최영은 군사를 출병시켰습니다.

2. 위화도 도착과 회군 결의

이성계가 이끄는 군대는 압록강을 건너 위화도에 도착했습니다. 군대는 여름철 장마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사기는 저하되었습니다. 또한, 명나라와의 전쟁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성계는 장수들과 회의를 열었습니다. 결국 위화도 회군이 결정되었습니다.

3. 개경 진격과 최영 제거

위화도 회군을 결심한 이성계는 군대를 이끌고 개경으로 진격했습니다. 개경에 도착한 이성계 군대는 최영이 이끄는 수비군을 격파했습니다. 최영은 처형되었습니다.

4. 우왕 폐위와 조선 건국

최영을 제거한 이성계는 우왕을 폐위하고, 그의 아들인 창왕(1388~1389)을 세웠습니다. 이후 공양왕(1389~1392)이 새로운 왕으로 즉위했지만, 실권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결국 이성계가 신하들의 추대를 받아 새로운 나라 조선의 왕이 되었습니다. 이로써 고려 왕조는 멸망하고 조선 왕조가 건국되었습니다.

5. 조선의 건국 의의

조선왕조의 시작은 무력 사용을 최소화시키고, 개혁을 통한 민심의 지지를 받으며 정당성을 얻어냈다는 점에서 정치사에 큰 획을 긋는 사건으로 기록할 만하다.

결론

위화도회군은 고려 말기 사회적 혼란과 명나라와의 외교적 갈등이 맞물려 일어난 사건이었다. 이성계는 요동 정벌의 무모함을 지적하며 회군을 단행했고, 이를 계기로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조선 왕조를 건국하게 되었다. 조선의 건국은 무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개혁을 통해 민심을 얻어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이성계와 신진 사대부들의 노력으로 새로운 왕조가 출범하면서 고려 말의 혼란을 극복하고 조선 전기 안정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다음 이전